프랑스 리포트/프랑스 리포트

프랑스의 최고경영자들 보수가 너무 높다고 비판 받아

빠리 정병주 2008. 4. 25. 15:59

 

 

 

 프랑스의 최고경영자들 보수가 너무 높다고 비판 받아(2008.4.24)


지난 3월, 프랑스 최대의 건설회사인 빈치(Vinci)의 전회장인 앙투완 쟈카리 씨는 프랑스 상업재판소에 빈치회사를 상대로 128억 원의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재판을 신청하여 사람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이 소식을 전하면서, 프랑스인들이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전해드리겠습니다.


-앙투완 쟈카리 회장과 빈치회사에 대하여 설명해주시겠습니까?

빈치라는 회사는 프랑스의 건설회사로 부동산, 주차장, 도로, 에너지 부문을 통괄하는 세계최대의 종합건설그룹으로 1997-2006년까지 쟈카리 씨가 회장으로 경영을 담당하다가 2006년 사임하였는데, 당시 200억 원의 보너스를 받고 연금으로 매년 약 40억, 약 19억 원 상당의 주식에 대한 이익배당금을 매년 받기로 한 것이 발표되어 화제가 되었었습니다. 그는 지금 스위스에 살고 있는데, 당시에 강제로 사임하였으며 스톡옵션도 포기하였다고 법원을 통하여 손해배생금으로 128어원을 청구한 것입니다.


-프랑스인들은 프랑스 최고경영자의 보수를 어떻게 평가합니까?

주간지 엑스프레스가 의뢰한 조사결과에 의하면 59퍼센트의 프랑스인들이 프랑스 최고경영자들의 보수가 지나치게 높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28퍼센트는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보통 근로자들은 급여가 떨어지고, 향후 퇴직연금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실직 시 보상금도 줄어드는 반면 최고경영자들의 보수는 유럽국 중에서도 최상위에 속한다고 합니다.

<몽테뉴 연구소>의 통계에 의하면,  프랑스 40대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의 보수는 연평균 약 15퍼센트 상승하였는데 이것은 일 반 근로자 급여상승율의 5배라고 합니다.


-프랑스 최고경영자들의 보수가 일반인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것에 대한 비판은 없습니까?

경영자 계층과 일반 국민 간에 너무 격차가 벌어진 것에 대한 우려도 있지만 한편, 경영직의 직업적 불안정성, 즉 경영자는 사전 예고 없이, 손해보상 없이 해고될 수 있기 때문에 보수가 높을 수 밖에 없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경영자는 회사의 경영을 위탁받은  지도자이기 때문에 높은 보수를 받아야 하며, 동시에 월급생활자이기 때문에 노동권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능력부족이나 경영실적의 부진으로 해임될 때 높은 보상금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최고경영자의 보수가 너무 높다고 많은  프랑스인들이 생각하고 있다면, 그들의 능력에 대하여서는 어떻게 평가하고 있습니까?

보수 측면을 별도로 한다면, 약 72퍼센트가 그들의 최고경영자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좋게 평가하고 있으며, 53퍼센트는 자신들의 최고경영자가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며, 24퍼센트는 창조적이라고 생각하고, 20퍼센트는 자신들의 이야기를 경청한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최고경영자와 직원들에게 스톡옵션을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들었습니다. 스톡옵션에 대한 견해는 어떻습니까?


스톡옵션은 본래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거나 충성도를 높이는 보수장치였는데 차츰 급여보조 스단이 되어가고 있는 것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 파리 정치대학인 시앙스포의 티에리 에마르(Thierry Aimar) 교수는 일부 최고경영자가 보수를 많이 바든 것이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경영실행성과에 따라 높은 보수룰 받는 것이 아니라 연금으로 높은 보수를 받는 것이 문제라고 비판합니다.


-경영자들에게 지급되는 과도한 보수를 법으로 금지하는 견해도 있습니까?


네델란드 정부는 최고경영자들의 과도한  보수에 대하여 세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의회에 제출하였다는 기사를 읽은 기억이 납니다. 프랑스 사회당의 앙리 베베르 유럽의회의원은 최고경영자와 일반근로자의 보수격차가 너무 커서 정치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프랑스경영자협회장인 로랑스 파리죠는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해결책을 준비하겠다고 주장합니다.


사회당 출신의 전 수상인 미쉘 로카르가 최근 르몽드 신문에서 언급한, <자본주의는 규칙보다는 윤리를 더 많이 요구한다고, 자본주의가 생긴 이래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였다>라는 말을 다시 되새겨봅니다.